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공공부문의 데이터 기반 행정과 같은 데이터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서는 데이터 제공자인 국민의 공공기관의 데이터 활용에 대한 지지가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의 데이터 이용주체인 공공부문의 데이터 활용동의에 대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국민들의 데이터에 대한 주체적인 태도 및 인식을 대표하는 온라인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실질적 프라이버시 지식, 프라이버시 투영능력, 프라이버시 및 데이터 보호 기술)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주요 독립변수로 하고,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를 조절변수로, 데이터 활용동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 실질적 프라이버시 지식, 프라이버시 투영능력이 정의 영향을 미치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조절효과분석에서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데이터 활용동의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주제어: 온라인 데이터 프라이버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데이터 활용동의, 디지털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