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대한 시민의 기대 수준 증가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정부 주도의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기술수용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제공자인 공무원의 4차 산업혁명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로 공무원은 기술수용에 어떠한 태도를 보이며 비자발적 환경에서 어떠한 요인이 공무원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수용의 제고 요인과 저해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주요 43개 부처・청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공무원의 기술수용뿐만 아니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PLS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무원의 4차 산업혁명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PLS-SEM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먼저, 성과기대와 조직분위기는 기술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저해 요인인 혁신저항은 기술수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과기대와 기술수용 사이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기술수용에 있어서 공무원이 인지하는 성과기대와 혁신저항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비자발적 환경 아래에 있는 공직사회에서 기술수용에 긍정적인 조직분위기는 공무원 개인의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통해 공무원 기술수용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주제어: 공무원, 4차 산업혁명 기술수용, PLS-SEM, 통합기술수용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