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책과학학회 로고
  • 홈으로 이동
  • 회원로그인
  • 회원가입
논문투고시스템 접속
이미지입니다
자료검색
학회지 자료 (eISSN: 2733-4953)

자료검색 > 학회지 자료

 
27권3호.05.이상호-권용수_마을공동체 활동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
 작성일 : 2023-10-20  조회수 : 1,258
   05_이상호_권용수.pdf (312.1K) [20] DATE : 2023-10-20 11:46:46

우리 사회는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며 구조적 변화를 빠르게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문화와 인종의 사람들이 한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를 만들어 냈으며, 다문화가정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계화에 흐름에 따라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사회로 변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가는 우리 사회에서 수용성을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가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정착이라는 지표이다. 2021년 통계청 조사에따르면 다문화가정은 385,219가정, 가구원 수 1,119,267명으로 조사되어 다문화가정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혼이주여성은 대한민국에 이주한 이후 지역사회 정착이라는 큰 산을 한 번 더 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정부와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국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활동이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 정착 이후 삶의 과정에서 지역사회에서의 사회통합 문제 해결과 지역정착을 위한 정책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사회통합의 기제의 한 부분인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일부 지역의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중 152명을 표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을공동체 활동과 지역애착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마을공동체 활동이 지역애착(하위변수인 의존성, 사회적 친분, 정체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어, 결혼이주여성의 마을공동체 활동이 지역애착에 인과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와 선행연구의 일치성 여부 등에 대한 논의 및 실천적, 정책적 함의, 연구의 한계를 설명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결혼이주여성, 마을공동체, 지역애착


 
 

AND OR
Total. 882
번호 제목 등록일 조회수
882 29권1호 05_김순양_김도경 The Political Dynamics of Privatizing Medical Services in South Korea: Turbulent Politics, Stakeholder Resistance, and Policy Failure 2025-04-14 238
881 29권1호 04_홍성희 LiFE 사업 참여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비수도권 H 대학 학업경험사례를 중심으로 2025-04-14 236
880 29권1호 03_김명진_김용운 대테러 정책변동 메커니즘 연구: 테러방지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2025-04-14 229
879 29권1호 02_홍근석_김진_임정빈 수도권 정비권역 설정의 적절성 분석 2025-04-14 222
878 29권1호 01_배경석_김성환_진상현 가정용 도시가스 가격 연동제 유보의 정책 효과 분석: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한 한일 비교 2025-04-14 222
877 28권4호 09_김병국_신소영 공공기관 성과급 차등화 수준과 영향 요인: 성과급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태도 및 조직적 맥락을 중심으로 2025-04-14 257
876 28권4호 08_지충남 광역 자치단체의 고려인 지원 사업의 비교: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2025-04-14 229
875 28권4호 07_염대봉_강인호 일본의 폐교대학 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25-04-14 252
874 28권4호 06_유재욱_정헌주_김태곤 한국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의 성과 발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2025-04-14 222
873 28권4호 05_권찬우_송석현 마이데이터 정책의 관점에서 데이터 대여 체계의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25-04-14 200
872 28권4호 04_이나경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본 지역 스마트도시계획 분석: 국가시범도시, 거점형, 강소형 스마트도시를 중심으로 2025-04-14 210
871 28권4호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정책 추진을 위한 인구감소지역의 디지털 역량의 탐색적 논의: 인구감소지역과 인구감소 저위험지역의 비교에 따른 시사점 2025-04-14 359
870 28권4호 02_김기형 중소기업정책 기조 및 주요 정책의 변화 방향에 관한 연구 2025-04-14 261
869 28권4호 01_김도연_김주경 정책 리터러시가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와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지속가능발전정책를 중심으로 2025-04-14 220
868 28권3호 07. 박성진/남궁현/오문준_ 거래적・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4-10-23 658
 1  2  3  4  5  6  7  8  9  10